일상으로의 초대/그저그런날들

쌀값을 지키는 법?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악법인 이유

J.YEOB 2025. 3. 4.

양곡관리법 (양곡법), 양곡법 개정안이란?

쌀값을 지키는 법?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악법인 이유 - undefined - 양곡관리법 (양곡법), 양곡법 개정안이란?
 
양곡관리법은 원래 1950년에 제정된 법으로, 쌀과 같은 주요 곡물의 수급 조절과 가격 안정화를 목표로 합니다.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추진하는 '개정안'은 쌀값이 폭락하거나 급등할 때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.

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쌀 초과 생산 시 의무 매입: 쌀 생산량이 수요를 초과하거나 쌀값이 평년 대비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정부가 남는 쌀을 매입해야 함.

  • 양곡가격안정제: 쌀값이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면 정부가 농가에 차액을 보전해 줌.

  • 예를 들어, 2024년 개정안에서는 시장격리(남는 쌀 매입) 대신 "대책 수립·시행"으로 표현을 완화했지만, 여전히 정부의 개입을 강화하는 방향입니다.

왜 추진하나?

민주당은 농가 소득 보전과 쌀값 안정화를 이유로 이 법을 추진합니다. 특히 농민 단체들은 쌀값 하락과 수입 쌀(연간 약 40만 톤)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. 이는 농민 표심을 의식한 전형적인 "포퓰리즘" 전략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.

포퓰리즘이란?

포퓰리즘(populism)**은 정치적 이념이나 전략으로, 일반 대중의 감정이나 불만을 이용해 그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방식을 뜻합니다. 쉽게 말해, "민심을 잡기 위해 인기 있는 정책이나 약속을 내세우는 것"이라고 할 수 있어요.

포퓰리즘의 특징✅

1.대중 중심: "우리 편"과 "너희 편"으로 나누어, 엘리트나 기득권층을 비판하며 대중을 대변한다고 주장.

예: "부자를 잡아 서민을 살리겠다!" (누구 떠오르는 사람 한명 있지 않나요?😅)
2.감정 호소: '논리'나 '데이터'보다 '감정에 호소'하는 메시지가 많음.

예: "당신들이 힘든 건 저들이 잘못했기 때문입니다!"
3.단순한 해결책: 복잡한 문제를 쉽게 풀겠다고 약속.

예: "세금 더 걷어서 다 나눠주면 해결됩니다!"
4.현실성 논란: 실행 가능성이나 부작용을 간과할 때가 많음.
쌀값을 지키는 법?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악법인 이유 - 포퓰리즘이란? - 포퓰리즘의 특징✅
포퓰리즘 예시 1번: 부자를 잡아 서민들을 살리겠다
쌀값을 지키는 법?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악법인 이유 - 포퓰리즘이란? - 포퓰리즘의 특징✅
포퓰리즘 예시 3번, 단순한 해결책
포퓰리즘의 특징을 알고 나면 특정 정당이 떠오르지 않나요? 바로 더불어민주당입니다. 특히 2번 특징인 '감정 호소', 이른바 감성팔이 정치는 정말 기가 막히게 잘하죠.
 
늘 '국민 편에 서 있는 척'하는 모습이 딱 포퓰리즘 그 자체예요. 만약 포퓰리즘의 교과서가 있다면, 민주당이 1장부터 끝까지 채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. 그야말로 포퓰리즘 정치의 살아있는 전시관 같은 존재죠.

다시 양곡법 개정안으로 돌아와서 왜 악법으로 간주되나?

반대 측(정부, 국민의힘, 일부 농민 및 경제 전문가)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"농업을 망치는 악법"이라며 비판합니다.
 

반대 측 비판

  • 쌀 공급 과잉 심화
    • 정부가 남는 쌀을 의무 매입하면 농가들이 다른 작물(밀·콩 등)로의 전환을 저해하게 됩니다. 이는 장기적으로 쌀값 하락을 더 부추길 가능성이 큽니다.
  • 막대한 재정 부담
    • 현재 연간 약 1.6조 원인 쌀 매입·보관비용이 2030년에는 3조 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이는 스마트 농업, 청년 농업인 육성 등 미래 투자에 쓰일 예산을 잠식할 우려가 있습니다.
  • 시장 기능 왜곡
    • 정부의 지나친 개입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 원리를 왜곡하여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악용 가능성
    • 일부 농가가 정부 매입을 노리고 과잉 생산하거나, 기준 가격 설정 과정에서 정치적 압력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이는 납세자의 부담 증가와 특정 지역·집단에 혜택 집중이라는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양곡법 개정안의 포인트

  • "이 법은 쌀값을 지키는 것처럼 보이지만, 결국 쌀만 늘어나고 농업 전체를 망칠 수 있어요."

  • "세금으로 남는 쌀을 사들이는 데 연간 3조 원? 그 돈이면 미래 농업에 투자하는 게 낫지 않을까요?"

  • "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악용되면 농민도, 국민도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."

양곡법 개정안, 쉽게말해

양곡관리법은 쉽게 말해 "쌀값이 떨어지면 정부가 나서서 쌀을 사주겠다"는 법입니다. 농민들의 소득을 보호하려는 좋은 뜻에서 시작했지만, 결과적으로는 쌀 과잉 생산을 부추기고 다른 작물 재배를 막아 농업 전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또한, 국민의 세금으로 남는 쌀을 계속 사들이는 것이 과연 장기적으로 옳은 방법인지 우리 모두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입니다.

반응형

댓글